코드이론
코드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연구하여 어떤 코드든 당황하지 않고 쳐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먼저 키(Key)와 코드(Chord)와 음(Note)을 헛갈려하신는 분들을 위해 잠깐 설명하겠습니다.
코드란 알고계시는대로 화음을 말합니다. 오선지 위에 써 있는 C, D, E 등이 바로 코드입니다.
키란 '조'입니다. '이 곡은 C키 곡이다'라면 C장조(다장조) 곡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로 '이 곡은 C코드 곡이다' 라는 발은 틀린 말입니다.
또한, 이런 C,D,E...는 음이름도 마찬가지 입니다.
C=도, D=레, E=미, ... B=시.
이번 코드이론은 C키를 중심으로 진행합니다.
이 시간에 배운 이론들은 다른 키로도 조옮김을 해서 응용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제가 'C코드는 도,미,솔(C,E,G)이다'라고 한다면 '아 그럼 D코드는 레,파,라(D,F,A) 구나' 라는걸
염두하셔야 합니다. 이번시간은 C키를 중심으로만 설명하겠습니다.
지금부터 공부할 코드 이론을 반드시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원리를 이해하시고,
나중에 궁금할 때마다 펼쳐 보시면서 수긍하시면 됩니다.
우리는 학창시절(지금이 학창시절인 분들도 계시겠지만..) 음악시간에 기본 3화음에 대해 배웠습니다.
C키의 기본3화음..
으뜸화음: C, E, G (도미솔) - C코드
버금딸림화음: F, A, C (파라도) - F코드
딸림화음: G, B, D (솔시레) - G코드
아~ 기본 3화음이 C코드, F코드, G코드였구나...라는 걸 이제 알게 되신분도 있을 듯 싶네요..^^ 이렇게 세음으로 만들어진 화음을 트라이어드(Triad)라고 합니다.
용어가 지금 중요하지는 않지만, 개념 잡는데 중요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기억해 두시구요..
해서 'C 트라이어드 = C,E,G' 라는걸 알아두시구요..
그럼 G 트라이어드는요? G,B,D가 되겠죠?
암튼, 요 기본 3화음만 알아도 간단한 동요 정도는 커버됩니다.
C G C F G
개울가에 올챙이 한마리 꼬물꼬물 헤엄치다
C G C G C
뒷다리가 쏘옥 앞다리가 쏘옥 팔딱팔딱 개구리됐네
이곡에서 잠시 보시면..
G는 C로 가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즉, 딸림화음은 으뜸화음으로 가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유는 '시'때문이지만 어쨌든 그렇습니다.
그래서 얘 이름이 딸림입니다. 으뜸보단 좀 딸려요.. 이걸 전문용어로 도미넌트(Dominant)라고 합니다.
또한 F는 G로 가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C로 가도 괜찬죠..아무튼..)
그래서 딸림에 버금(둘째)가게 딸린다..해서 버금딸림이고, 전문용어로 서브도미넌트(Sub-
Dominant)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으뜸화음은 토닉(Tonic)이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서 기본적인 형태의 곡은
[토닉 - 서브도미넌트 - 도미넌트 - 토닉] 의 패턴에서 기인합니다.
근데 기억하실지 모르겠는데...딸림7화음이라는걸 배운적이 있죠?
딸림7화음: G, B, D, F (솔시레파) = G7
'솔'에서부터 7번째음(F)을 같이 누르면G7 딸림7화음 = 도미넌트세븐(Dominant-7) 입니다.
C7 이라면 '도'에서 7번째니까 C7 = C,E,G,Bb 이 되겠구요.
이와 같은 G7코드구성에서 B는 C로 가려는 성질이 있고, 7음인 F는 E로 가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G보다 G7이 C로 수렴하려는 성질이 큽니다. 그래서 C키 곡들을 보면 F-G7-C 로 이어지는 패턴이 많습니다.
C7이라면 C에서7번째 음이 B가 되어야지 왜 Bb이냐?..
이제 다음 그림을 머리속에 살포시 집어넣으세요..^^
기본 트라이어드
기본코드는 3도씩 쌓아 올려집니다.
도에서부터 장3도,단3도가 쌓이면 C코드입니다. 원래 Cmajor코드 가 정식 명칭이지만 major를 생략하고 그냥 C코드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단3도,장3도가 쌓이면 C,Eb,G 이므로 Cminor가 정식명칭인데, 줄여서 Cm로 씁니다.
그럼 단3도,단3도가 쌓이면요? C,Eb,Gb = Cdim (디미니쉬)
그럼 장3도,장3도가 쌓이면요? C,E,G# = Caug (오그먼트)
7, maj7
C7일 경우 Bb을 칩니다. B를 칠 경우는 따로 Cmaj7 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Bb을 b7으로 표기할 경우 Cb7과 혼돈이 생기기 때문이죠.
예를들어 Gb7일 경우, 이게 G의 b7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Gb의 7을 의미하는지 분간이 안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maj7이 아니라면, 7은 무조건 b7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텐션 코드
또한, 9~13은 소위 텐션코드라고 하는데, 더욱 풍부한 화음을 가져다 주며, 재즈에서는 기본입니다.
만약 C9 이라는 코드가 나왔다면 C,E,G,Bb,D 가 되겠죠.
이처럼 텐션코드에서는 꼭 7을 포함해야하고, maj표기가 되어있으면 maj7을 포함 합니다.
C11 = C E G Bb D F
Cmaj11 = C E G B D F
Cadd9 = C E G D (add x 란 단순히 x번째 음을 추가하라는 뜻..)
기타...
Cm7b5 = C Eb Gb Bb = Cm7 에서 5음인 G를 반음 내림.
CmM7 = C Eb G B = Cm에서 maj7인 B를 추가.
Csus2 = C D G
Csus4 = C F G
Cno3 = C G (no3는 3음인 E를 치지 말라는 의미)
슬래시코드
C/G 라고 써있으면 C코드를 치되 베이스를 G로 치라는 것..
방법은 간단한데 화성적 효과는 큽니다.
오른손으로 아무리 C코드를 쳐도 베이스를 A를 누르면 전체 코드는 Am7이 되죠.
C/A = A C E G = Am7
만약 Cmaj13 이라는 코드가 나오면?.....
C E G B D F A.....어라? .. 알파벳 순으로 재구성 해보니 C D E F G A B 네요?...
손가락이 아닌 팔을 들어 흰건반을 모조리 쾅~ 눌러줄까요?..^^
흔하진 않지만 실제로 그렇게 연주하기도 하죠.. 꽤 멋있는 화음입니다.
그렇지만...
늘 그렇게 연주할 수는 없죠. 곡의 메세지와 분위기, 예배현장의 흐름 등에 따라 같은 코드도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쓰입니다. 늘 왼손은 C, 오른손은 CEG로 C코드를 소화할 수는 없는 노릇이죠.
같은 코드라도 음을 어떤 순서로 어떻게 구성하는가....이를 '보이싱'이라고 하고 다음 강의에서 다루려고 합니다. 이번 강의는 양이 많아서..훌쩍...ㅜ.ㅜ
5도 싸이클과 전조
다음 그림을 주목하세요..^^
이 표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이냐.....
상단 가운데 C를 중심으로 오른쪽은 5도, 왼쪽은 4도, 오른쪽은 #, 왼쪽은 b이 붙습니다.
피아노 학원 다녔던 분들은 외웠을지도 모르는 '파도솔레라미시,시미라레솔도파'의 확장판입니다.
5도 관계
이 표를 가지고 다룰만한 내용이 많지만, 지금은 5도 관계만 보겠습니다.
C에서 5도는 G에서 5도는 D에서 5도는 A에서 5도는 E에서 5도는......................
그렇다고 음정 계산 하실것 까지야 없고.. 그냥 5도관계만 보심 됩니다.
5도가 뭐냐구요?.. 제가 아까 위에서 다뤘던 도미넌트 관계입니다.
C의 도미넌트는 G의 도미넌트는 D의 도미넌트는 A의 도미넌트는..................
이건 마치 타임머신의 열쇠이자 폴의 딱부리같은 겁니다.
C의 세계로 들어가려면 G를 거쳐라...
어떤 키의 곡에서든지 다른키로 넘어가려면 넘어갈 키의 도미넌트코드를 찍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목마른 사슴을 C로 1절 부르고 D로 올리겠다고 한다면, D의 도미넌트인 A(혹은 A7)을 찍고 D로 가면 자연스럽습니다. D에서 또 E로 올리겠다면 E의 도미넌트인 B(혹은 B7)을 찍고 E로 가면 됩니다. 이 방법은 한키를 올리든, 반키를 올리든, 전혀 엉뚱한 키로 올리든 마찬가지죠.
그저 넘어갈 키의 도미넌트만 찍으면 됩니다.
그리고.. 어쩌다 보면 곡과 곡이 5도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G키곡을 부르고 있는데 다음곡은 C키다.. 이 때 끊김없이 가고싶다면?...
C의 도미넌트는 G인데 이미 G곡을 부르고 있으니까.. 그냥 노래가 끝나면 G7으로 바로 들어가서 C로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A에서 D곡으로 넘어갈때도 마찬가지겠죠?..
'기타배우기 > 통기타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타 코드표 깨끗한 버전... (0) | 2014.02.13 |
---|---|
기타 배우시기에 늦었다구요? (0) | 2012.05.16 |
[스크랩] 응용코드 (0) | 2010.10.29 |
[스크랩] 통기타 가격대별 고르기(펌글) (0) | 2010.10.29 |
[스크랩] Step8 : 여기부터 고급입니다 -- 기본이론 (0) | 201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