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토요강습(PM 05:30 ~07:30)
1. 참석자
(1) 토요강사: 누노더기
(2) 수강생: 시냇가, 랑사, 상상, 로즈옹, 보그, 눈동자, 기타줄, 초짜, 무채색, 왕바보, 바늘꽂이, 노란잠수함, 햇살유진, 춘희,
지롱, 고구마
(*) 결석자: 아씨, 노블맨, 리나, 내푸(오후에 잠깐 왔다 감), Sweat Heart
(3) 도움이&참관인: 랑사, 치우, 동방의뿌리, 동쪽바다고등어, 차선주, 좋은애벌래, 블루
2. 강습내용
(1) 16 Beat Medium GoGo
- 예제곡: "살다보면" song by 권진원
*저음부와 고음부를 나눠치기에 좋은곡
*Bb(내림나장조)-->3카포로 변환
- 8Beat와 16Beat의 차이점
*8Beat: 8분음표 위주로 악보구성
*16Beat: 16분음표 위주로 악보구성
- "살다보면" Stroke Pattern
저음부 고음부 저음부 고음부 저음부 고음부 저음부 고음부
*엇박부분
전주부분: Cm7 (1.5박)--> D(0.5박)
악보 첫페이지 하단: Bm (1.5박)--> Em(0.5박)
자유롭게 아름답-
*Stroke Pattern변환부분
악보 두번째 페이지 상단: Dsus4 -------- >D(요기 커팅어려우면 오른손으로 살짝 덮어주세요)
nnv nnv nnv nnv nn
<Nuno-Point>
*저음부: 스윙을 최대한 짧게 손에 물기터는 기분으로 6,5,4,3번 줄까지만 칠 것.
*고음부: 약간의 팔을 쓰면서 줄전체를 "촹~"
*저음부는 거의 Up Stroke가 없음.
*모든 Stroke는 첫번째와 세번째는 저음위주, 두번째와 네번째는 고음까지 같이 쳐줄것.
*Stroke를 처음부터 강하게 칠려고 말고 부드럽게 치는거 연습하면서 나중에 강약을 넣을것.
*Am7누르는 방법: Am잡은 상태에서 7음만추가(새끼손가락으로 1번줄 3플랫)
*기타는 6줄이라 피아노처럼 고른 화음을 낼 수 없음. Am7은 다행히 Am코드에서 1,2,3번손가락을 사용하고 남는 4번
손가락으로 7음을 짚을수 있으나 Bm7의 경우 Bm코드가 1,2,3,4의 네손가락을 모두 사용하므로 7코드를 짚을
수 없으므로 Bm에서 코드를 변형시켜 Bm7코드를 잡음.
*Am7-->Dsus4로 쉽게 전환하는 방법: Am7에서 새끼손가락(Pivot Finger)떼지말고 그대로 1,2,3번 손가락을
아래로 내려서 D코드를 잡아주면 됨.
(2) 코드이론
- 모든 노래의 기본코드
- 뒤에 따라나오는 코드가 뻔하다 C D E F G A B C D E F G A B C
- 전통적인 기본코드구성
I(1도) IV(4도) V7(5도)
C F G7
Am(*) Dm Em7, E7
(*) Am는 C의 대리코드: C(다장조)와 Am(가단조)는 둘 다 #, b가 붙지 않아서 조표가 동일하므로 Am는 C의 대리코드임.
(예시) "살다보면"의 코드구성
I(1도) IV(4도) V7(5도)
G C D7
Em Am Bm7, B7
- 이영훈(작곡가)의 등장이후 변형된 기본코드구성(90년대 중반까지)
I(1도) IV(4도) V7(5도) <--- 지난주에 배운 "상심"
C F G7
Am Dm Em7, E7
Bm7-5
* Bm7-5가 추가됨(Minor 1도에서 한 음 올림, Bm에서 5도를 반음 낮춘 코드).
이 코드는 엄밀히 따지면 기타에는 없는 코드이나 피아노로 곡을 쓰면서 등장함.
가요의 수준을 팝의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평가됨.
(예시)
I(1도) IV(4도) V7(5도)
D G A7
Bm Em F#m7, F#7
C#m7-5
- 김현철, 김동률 등의 등장이후 변형된 기본코드구성(90년대 중반이후부터 현재까지)
I(1도) IV(4도) V7(5도)
C F G7
Am Dm Em7, E7
Bm7-5
* 재즈풍의 어려운 코드를 좋아하던 작곡가들이 4도음에서 minor를 뺌(Dm-->D). 보다 세련된 느낌을 줌.
* 과거(촌스러움) 요즘(세련됨)
4도 Minor ----> 4도 Major
4도 Major ----> 4도 Minor
예를 들어, Am-->Dm-->E7으로 마무리하면 촌스러움
Am-->D --->E7으로 마무리하면 세련된 느낌
(예시) 위의 기본코드구성에서 한 음씩 내려보자
I(1도) IV(4도) V7(5도)
Bb Eb F7
Gm Cm Dm, D7
Am7-5
- 친구: "너 기타 칠 줄 안다며, 신곡한 번 쳐봐"
- 고구마: "악보가 없어" --;;
요럴 때 함 해보세요.
↓
※ 채보(따다, Copy하다)의 난이도
(1) Code Copy(위에서 배운 기본코드구성대로 넣어보면 됨, 제일 쉬움)
(2) Adlib(단음 하나하나 치는 것)
(3) Arpeggio(제일 어려움)
"코드채보Report" written by Nuno-durki 조만간 출판예정
*'살다보면', '일어나'를 고음부,저음부 신경쓰면서 같이 연습할 것.
(3) 다음주 배울내용과 강습곡
- 16Beat Arpeggio
- "슬픈인연" song by 015B
- 왼손가락 찢고 오세요(기타목뒤를 이용해서 손가락을 굽히지 말고 지긋이 밀면서 벌려주세요)
Ⅱ. 뒷 풀이
1. 통리연습실(PM 08:00~09:30)
2. ??(집에 가서 잘 모르겠음)
아, 또 반장해버렸어.
'기타배우기 > 통기타심화정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토요강습] 3/7(토) 중급반 강습후기(4) (0) | 2009.03.27 |
---|---|
[스크랩] [토요강습] 2/21(토) 중급반 강습후기(3) (0) | 2009.03.27 |
[스크랩] [토요강습] 2/7(토) 중급반 강습후기(1) (0) | 2009.03.27 |
* 베이스런(통리에서 옮김) (0) | 2009.03.27 |
[스크랩] [42기후기]코드이론 !! (0) | 2009.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