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모니카 부는 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퍼커(Pucker) - 싱글(Single) 과 반싱글(Half-Single)
1) 퍼커싱글주법
싱글주법의 입 모양은 '오'나 휘파람을 불 때처럼 입을 최대한 오므려서 한 구멍에 대고 불어서 한 음만 나도록 해야 한다.
싱글 주법은 숫자악보 상에 ⓢ 로 표기한다.
하모니카 처음 입문 하면서 이 퍼커싱글주법으로 시작을 합니다.
실제 입모양
2) 텅블럭 싱글주법(Tongue block single)
* "애"소리를 낼때와 같은 입 모양으로 하모니카를 조금 깊게 문다.
* 오른쪽 한 두 구멍을 비운채 왼쪽 두세구멍을 혀로 가볍게 막고 분다.
* 숫자악보 상에 ⓢ 로 표기한다.
실제 입모양
* 텅불럭 싱글주법은 퍼커 싱글주법보다 배우기가 힘들고 어려우나 반드시 배워야할 주법이다. 베이스,
분산화음 주법등을 배울때에 텅불럭 싱글주법을 할수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모니카 연주 소리도 퍼커싱글주법에 비해 맑고 음량이 풍부하다.
맑고 깨끗한 음색을 내는법 (싱글 텅블럭주법)
혀의 위치는 (텅블럭주법)와 같습니다.
혀의 어느 부분이 하모니카의 살(몸체의 취구)에 닿아야 되냐는 건데,
주의 하실 것은
혀의 오른 쪽에 가락 공간을 둔다고 혀를 왼 쪽으로 구부리는 경향이 있는데
자연스럽지 못하고 좋은 자세가 아닙니다.
(혀- 중앙 위치 시킴, 마음 속으로만 혀 오른편에 바람구멍을 둔다고 생각함)
( 텅블럭 싱글주법시 혀의 위치 )
우선 혀의 하모 접촉점 위치는 (아래그림 참조)
1.정면과 2.혀바닥의 앞 부분 3.혀 뒷 부분의 앞 부분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자의 취향에 따라 위 3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저의 경우엔 (종려나무 방식)
3.혀 뒷 부분의 앞 부분 ...을 이용하는 경우가 제일 맑고 깨끗한 싱긍음 표현애 편리하더군요...
2. 텅블럭(Tongue-Block) - 부는 음 아랫구멍들을 혀로 막고 부는 법
*** 텅불럭 주법이란? ***
하모니카를 불고 마실 때 소리를 내려는 음의 구멍 만 빼고 그 아랫부분을 혀로 막고 부는 주법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중음 <도,레>를 내려고 하면 중음<도>아랫부분 즉 <시솔라미> 부분에다가 혀를 대서 막은 채 부는 방법입니다. 텅블럭 주법은 베이스나 화음주법의 기초입니다.
*** 텅블럭으로 부는 방법 ***
1. 먼저 하모니카 스케일의 배열 위치를 확실히 알아두어야 합니다. 24홀 하모니카의 저저음 <솔>부터 고음 <시>까지의 음 배열 위치를 숫자보로 나열하면 다 음과 같습니다. - 파일 1 클릭
< 저 음 부 > < 중 음 부 > < 고 음 부 >
저음-[5 2 1 4 3 6 5 7 1 2 3 4 5 6 1 7 3 2 5 4 1 6 3 7]-고음
2. 텅블럭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입을 “우”모양으로 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텅블럭 주법으로 중음 <1,2>를 불려면 입을 [365712]를 동시에 불 만큼 벌려서 하모니카를 물어야 합니다. 그래서 불면 <3,5,1>, 마시면 <6,7,2>소리가 동시에 나와야 합니다. - 파일 2 클릭
3. 이제 <1,2>음만 내기 위해서 혀로 <3657> 부분을 막아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혀로 <3657> 구멍을 막고 <1,2> 구멍은 열어 놓은채 입을 "우" 모양으로 하모니카를 물어서 불고 마시면 <1,2>소리만 나오게 됩니다. 불고 마실 때 막은 혀를 떼거나 입의 위치를 움직이면 안 됩니다. 입, 혀의 위치는 고정시켜 놓고 호흡만 가지고불고 마셔 보십시오. 이런 식으로 <1,2>음만 나올 때까지 계속 반복 하십시오. - 파일 3 클릭
4. 텅블럭 한 채 <1,2>음 만 내는게 익혀지면 <3,4><5,6><7,1>를 불어 보십시오. 이 때에는 입을 옮기지 말고 하모니카를 옮기십시오. 다시 말해서 입은 <혀막기:음> 고정시켜 놓고 <음>자리에 하모니카 를 밀어 가면서 <1,2><3,4><5,6><7,1> 구멍에 맞추어서 불고 마시다가, 이번에는 당기면서 <1,7><6,5><4,3><2,1> 구멍에 맞추면서 마시고 불면서 내려오면 하모니카 스케일을 왕복하게 됩니다. - 파일 4 클릭
5. 텅블럭 주법으로 연주 할 때 꼭 지켜야 할 점은 하모니카에 일단 붙인 혀는 쉼표가 있든지, 음이 옥타브로 껑충 올라가든지, 내려가든지 결코 떼지 말아야 합니다. 무조건 붙이고 연주하십시오.-파일 5 클릭
*** 텅블럭 주법에서 파생되는 주법 ***
텅블럭 주법을 완전히 익혀 두어야 텅블락을 기초로 해서 베이스와 화음연주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주법들은 후에 설명해 드리도록 하고 여기서는 베이스, 화음주법의 개요와 간단한 시범연주로 강의를 마치겠습니다.
1. 베이스 - 텅 블락으로 연주하면서 붙인 혀를 박자에 맞게 떼었다 붙이면 베이스가 됩니다. 어디에다 얼만큼 붙
였다 떼느냐에 따라서 3홀 베이스, 5홀베이스, 옥타브베이스, 분산베이스가 됩니다. - 파일 6 클릭
2. 화음 - 혀로 어느 구멍을 얼만큼 어떻게 막고, 어느 구멍들을 열고 부느냐에 따라서 3홀, 5홀, 7홀, 9홀,분산 화음이 됩니다. 이제 <즐거운 나의집>을 3홀, 5홀, 옥타브(7,9홀), 분산화음으로 연주하겠습니다. - 파일 7 클릭
'하모니카배우기 > 하모니카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모니카를 시작하려는 분들에게 (0) | 2016.06.18 |
---|---|
[스크랩] 미국 `하모니카 레슨`에 나온 하모니카 잘불기 요령 (0) | 2016.06.18 |
[스크랩] 장조와 단조 (0) | 2016.06.17 |
[스크랩] 하모니카 키와 스케일에 대하여.. (0) | 2016.06.17 |
[스크랩] 하모니카 주법 (0) | 2016.06.17 |